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지난달 4월(1.5%)에서 오늘 5월 26일 1.75%로 인상되었습니다. 올해 4월 5월 연이어서 금리를 올렸는데, 이런 비슷한 사례가 2007년 7-8월이라고 하고, 이는 14년 9개월만이라고 합니다.
2007 07월 12일 4.75
2007 08월 09일 5.00
1.75%가 또 언제 있었나 그림에서 살펴보니, 2015년 3월 12일, 2018 11월 30일에 이어서 오늘이 세번째이네요
이렇게 연속해서 두달째 올라가는 이유로는 첫번째 미국 기준금리 추이와 두번째, 국내 가계부채 때문이라고들 합니다.
미국 금리
미 연준 5월 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성명 발표 - “현재 0.25~0.5%인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한다" 이에 따라서 미국 기준금리는 0.75~1.0% 수준으로 상승함.
15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
그동안 저금리 덕에 가계부채가 폭증했는데, 시중에 풀린 자금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고 합니다.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자영업자 대출 금리 등이 상향될 예정이고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미국에서 빅스텝big step 행보를 이어갈 전망이고, 다음 FOMC 회의 때 50bp인상이 또 유력해졌고, 그래서 우리나라도 기준금리를 2.5%까지 올려야 된다는 의견이 있기도 합니다.
서민들, 자영업자들은 이자부담이 더욱 더 크게 올라갈 것이기 때문에 이것에 대한 대응해야 하죠. 빨리 대출상환하던지, 고정금리로 갈아타던지,
영끌족, 갭투자 하셨던 분들 생각만 해도 아찔합니다. 늘어난 이자를 어찌 감당할지!
우리 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온 지구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입가격이 올라가면 우리네 생필품 가격이 올라가고, 식용유 대란 1인당 2개이상 못 사게 하는 웃프 상황,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 경제 안정을 위해서 우리도 금리도 올려야 하고, 금리차가 역전되면 외국자본이 다 빠져나간다고 합니다 (T.T) 원 달러 환율 상승하고, 주식시장이 요동을 치겠죠
우리나라 주입식교육에서 암기과목들은 암기하고, 국어, 영어, 수학 중요하니, 공부만 열심히 하라고 배웠는데, 참 이런 상황들에 대해서 이해하고 공부하려고 하다보니 낮설고 어렵기만 합니다.
그나마 점차 이해의 폭이 넓어져가고 있어서 희망회로를 돌려봅니다.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다고 해도
"외국인 국내 주식투자 비중이 과거보다 낮아진 데다, 채권투자는 현재도 유입되고 있는 상황" 이어서
우리 경제 상황으로 볼 때 감내할 만한 수준일 거라고 합니다. by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 기준금리 1.75% 인상되었고,
앞으로 더 오를 가능성이 확실한 상황에서 나는 어떻게 대응 해야할지 고민이 커지는 요즘입니다.
대출받으신게 있다면 빨리 해결하시기를..
'퀀트 자동매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 PDF (0) | 2022.05.30 |
---|---|
삼겹살 가격 떨어질까? (0) | 2022.05.30 |
득점왕 손흥민, 완벽한 양발 잡이 (0) | 2022.05.26 |
오늘 코스피 코스닥 증시 간만에 올랐네요 (0) | 2022.05.25 |
5월은 종합소득세, 6월은 성실신고 (0) | 2022.05.21 |
댓글